HYUNDAI SOLAR WEEKLY WATCH

1. 폴리실리콘 Spot 가격(9N급 또는 그 이상) : 전주대비 $0.01(0.05%) 상승, 현재 $18.59/kg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6N~8N급) : 전주대비 $0.01(0.05%)상승, 현재 $18.57/kg 
2. 웨이퍼가격 : 125mm 단결정 전주대비 변화 없음, 현재 $0.72 
3. 모듈가격 : 전주대비 변화 없음, 현재 $0.669/Watt

PVinsights에 따르면 금주 태양광밸류체인 가격은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유럽, 중국, 일본의 태양광시스템 설치수요는 양호하나 시스템 설치업체들은 모듈가격 급등을 원치않고 있다고 합니다. 시스템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업스트림 제품가격 상승세로 인해 모듈업체들은 모듈가격을 인상시키고 있다고 전합니다. 금주 모듈가격은 실제로 소폭 상승했으나 달러화(엔화/유로화 대비) 강세에 따라 상승분이 상쇄됐다는 전언입니다. 일본과 유럽의 경우 모듈가격이 현지 통화로 거래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태양광 수요 회복과 반덤핑 이슈가 중국 업체들의 가격 동결 및 중국외 업체들의 단가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합니다. 셀 수요 개선과 EU의 반덤핑 관세 부과 기대감으로 중국외 셀 업체들은 판가를 대폭 인상 중이라고 합니다. 웨이퍼의 경우도 EU 반덤핑 이슈에 따라 일부 셀/모듈업체들은 중국산 웨이퍼 구매를 꺼리고 있다고 전합니다. 반면 금주 폴리실리콘 가격의 경우 강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중국의 수입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최종 결정을 앞두고 주요 업체들이 관망세를 보인데다 최근 급등에 따른 피로감 때문입니다.

 

☆태양광 Total Price_현대 백영찬_130320.xls

Posted by 백영찬
:

 국제유가 반등, 석화제품는 가격 하락 지속 
 
 ◆ 제품가격 및 스프레드 추이 
 - 국제유가 : WTI 전주말대비 +1.6%($93.5/bbl), Dubai -0.9%($105.3) 
 - 정제마진(주간평균 기준) : 싱가폴 고도화마진 -$0.5/bbl(평균 $21.4), 단순마진 -$0.1($3.3) 
 - 납사가격 -1.0%(현재 $928.8/톤), Ethylene -5.5%($1,195), BD -7.5%($1,725) 
 - 합섬원료 : PX -0.5%($1,520.5), TPA -0.3%, MEG +0.8%($1,053) 
 - 합성수지 : HDPE -2.1%, PP -2.8%, PVC -1.9% 
 - 면화가격은 전주말대비 +6.7%(현재 91.7센트/파운드), 천연고무 가격은 -6.0%(현재 $2,680/톤) 
 
 ◆ 제품별 현황 및 전망 
 - 정제마진 하락. B-C를 제외한 Gasoline/Diesel 모두 약세를 보임. 미국 정제가동률 정기보수와 트러블로 인해 81%까지 하락 
 - 기초유분 가격 하락 확대. Ethylene -5.5%, BD -7.5% 기록. 중국내 BD 및 합성고무 재고가 높아서 당분간 가격 약세 전망 
 - 합섬원료(PX/PTA) 가격도 약세를 보였으나 MEG는 반등함. 일부 트레이더들은 2Q MEG 수급개선을 예상하고 매수세로 전환 
 - 바이어들의 PE/PP 구매의사도 관망 중. 중국 Sinopec은 HDPE 내수가격을 350위안/톤 인하함

★석유화학 Weekly Summary_현대증권 백영찬_2013_0315(최종).xls

Posted by 백영찬
:

HYUNDAI SOLAR WEEKLY WATCH

1. 폴리실리콘 Spot 가격(9N급 또는 그 이상) : 전주대비 $0.58(3.22%) 상승, 현재 $18.58/kg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6N~8N) : 전주대비 $0.28(1.53%)상승, 현재 $18.56/kg 

 2. 웨이퍼가격 : 125mm 단결정 전주대비 $0.006(0.84%) 상승, 현재 $0.72 

 3. 모듈가격 : 전주대비 $0.002(0.3%) 상승, 현재 $0.669/Watt

 

PVinsights에 따르면 금주에도 폴리실리콘가격 상승세가 지속됐습니다. 중국정부의 수입산 폴리실리콘 반덤핑관세 부과 예상으로 중국내 폴리실리콘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외 지역에서 거래되는 폴리실리콘가격의 경우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중국가격 강세가 전체 폴리실리콘 가격대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전합니다. 반덤핑관세 검토관련 중국정부의 잠정결과 발표는 3월말~4월초로 예상되고 있다는 전언입니다. 당분간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현재 일본, 중국, 독일 주도로 전반적인 다운스트림 수요는 양호한 반면 태양광 설치시스템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유럽내 상업용 태양광시스템가격은 이미 Watt 1유로 아래로 떨어졌다고 전합니다. 이로 인해 모듈가격 상승은 소폭에 그쳤습니다. 폴리실리콘 가격 강한 반등에 따라 태양광 밸류체인별 제조원가는 상승중이나 다결정 셀과 웨이퍼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다운스트림 체인의 가격압박때문이라는 전언입니다.

☆태양광 Total Price_현대 백영찬_130313.xls

Posted by 백영찬
:

국제유가 반등, 석화제품는 가격 하락 

◆ 제품가격 및 스프레드 추이 
- 국제유가 : WTI 전주말대비 +0.9%($106.3/bbl), Dubai +1.4%($92) 
- 정제마진(주간평균 기준) : 싱가폴 고도화마진 -$1.1/bbl(평균 $21.9), 단순마진 변화 없음 
- 납사가격 -1.2%(현재 $938.1/톤), Ethylene -6.6%($1,265), BD -10.3%($1,865) 
- 합섬원료 : PX -3.7%($1,528), TPA -2.2%, MEG -0.1%($1,045) 
- 합성수지 : HDPE -1.4%, PP -1.9%, PVC -1.4% 
- 면화가격은 전주말대비 +2.2%(현재 86.0센트/파운드), 천연고무 가격은 -0.3%(현재 $2,850/톤) 
 
◆ 제품별 현황 및 전망 
- 정제마진 소폭 하락. 유가 상승에도 불구, B-C를 제외한 Gasoline/Diesel 모두 약세를 보임 
- 기초유분 가격 하락 확대. Ethylene -6.6%, BD -10.3% 기록. 중국 내수 합성고무 가격하락과 가동률 하락소식으로 BD 가격도 약세 
- PX 가격은 다운스트림 PTA 가동중단 소식(중국 Yisheng 300만톤)에 하락함. MEG 동중국항 재고도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됨 
- PE/PP/PVC의 중국내 구매심리 현재 약화된 상태. 시장 참가자들은 관망 중. Sinopec은 LDPE 내수가격을 톤당 200위안 인하함

★석유화학 Weekly Summary_현대증권 백영찬_2013_0308(최종).xls

Posted by 백영찬
:

HYUNDAI SOLAR WEEKLY WATCH
1. 폴리실리콘 Spot 가격(9N급 또는 그 이상) : 전주대비 $1.2(7.14%) 상승, 현재 $18.0/kg,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6N~8N급) : 전주대비 $0.77(4.4%)상승, 현재 $18.28/kg 
2. 웨이퍼가격 : 125mm 단결정 전주대비 $0.021(3.03%) 상승, 현재 $0.714 
3. 모듈가격 : 전주대비 $0.004(0.6%) 상승, 현재 $0.667/Watt

PVinsights에 따르면 금주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폭이 가장 컸습니다. 중국정부의 수입산 폴리실리콘 반덤핑 상계관세 부과는 여전히 검토중이며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면 고순도 폴리실리콘의 경우 거래물량은 제한적이나 제조업체들이 저순도 폴리가격대까지 단가 인상을 추진해 현재 두 가격간의 차이는 크게 좁혀진 상태라는 전언입니다. 태양광 업황은 중국, 일본, 독일의 다운스트림 수요 견조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태양광 시스템가격 하락세가 여전히 모듈가격 인하 압박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태양광 Total Price_현대 백영찬_130306.xls

Posted by 백영찬
:

국제유가 및 석화제품 가격 동반 하락 
 
◆ 제품가격 및 스프레드 추이 
- 국제유가 : WTI 전주말대비 -2.6%($90.7/bbl), Dubai -3.8%($105.4) 
- 정제마진(주간평균 기준) : 싱가폴 고도화마진 -$1.0/bbl(평균 $23.0), 단순마진 -$0.1/bbl(평균 $3.4) 
- 납사가격 -3.1%(현재 $949.5/톤), Ethylene -0.7%($1,355), BD -1.0%($2,080) 
- 합섬원료 : PX -5.3%($1,586), TPA -1.9%, MEG -8.0%($1,046) 
- 합성수지 : HDPE -1.3%, PP -0.8%, PVC -0.5% 
- 면화가격은 전주말대비 +2.9%(현재 84.1센트/파운드), 천연고무 가격은 -1.7%(현재 $2,860/톤) 
 
◆ 제품별 현황 및 전망 
- 정제마진 10주만에 하락. 국제유가 하락 및 미국 정제가동률 상승에 따른 gasoline 가격 하락 때문임. 당분간 약세 전망 
- 미국 시퀘스터 협상결렬과 중국 부동산규제 이슈 등으로 국제유가/석화제품 가격 하락폭 확대됨 
- PX 및 MEG 가격 하락 폭 확대. PX는 중국 PTA 가동률 하락소식에 따른 롱포지션 청산되며 가격 하락함. MEG의 경우 동중국항 재고확대(현재 90만톤 추정)로 물량부담 상존. 3월 폴리에스터 가동률 부진시 추가적인 하락 가능 
- PE/PP/PVC의 중국내 구매심리 현재 약화된 상태. 시장 참가자들은 관망 중 

★석유화학 Weekly Summary_현대증권 백영찬_2013_0301(최종).xls

Posted by 백영찬
:

HYUNDAI SOLAR WEEKLY WATCH

1. 폴리실리콘 Spot 가격(9N급 또는 그 이상) : 전주대비 $0.65(4.02%) 상승, 현재 $16.8/kg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6N~8N급) : 전주대비 변화 없음, 현재 $17.51/kg 
2. 웨이퍼가격 : 125mm 단결정 전주대비 $0.01(1.46%) 상승, 현재 $0.693 
3. 모듈가격 : 전주대비 $0.001(0.15%) 상승, 현재 $0.663/Watt

PVinsights에 따르면 금주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은 전반적인 상승세를 지속했고 특히 폴리실리콘 가격반등폭이 가장 컸습니다. 웨이퍼 업체들의 저조한 가동률가 유지되고 있어 폴리실리콘 수요는 제한적이나 저순도 폴리가격 상승세와 더불어 고순도 폴리업체들의 판가인상 노력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반면 중국정부의 수입산 폴리실리콘 반덤핑 상계관세 부과 발표가 당초 예정됐던 2월20일에서 연기됨에 따라 금주 저순도 폴리가격은 변화가 없었다는 전언입니다. 현재 일본의 태양광시스템 설치수요는 양호하며 유럽 또한 독일 주도의 수요 회복이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수요 또한 견조해 전반적인 태양광시스템 수요는 개선되고 있는 상태라고 전합니다. 하지만 시스템가격이 여전히 모듈가격 하락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태양광 Total Price_현대 백영찬_130227.xls

Posted by 백영찬
:
국제유가 및 석화제품 가격 하락, 정제마진은 강세 유지 
 
◆ 제품가격 및 스프레드 추이 
 - 국제유가 : WTI 전주말대비 -2.8%($93.1/bbl), Dubai -2.7%($109.5bbl) 
 - 정제마진(주간평균 기준) : 싱가폴 고도화마진 +$0.7/bbl(평균 $24.0), 단순마진 +$0.1/bbl(평균 $3.5) 
 - 납사가격 -5.9%(현재 $979.4/톤), Ethylene -0.4%($1,365/톤), BD 전주와 동일($2,100/톤) 
 - 합섬원료 : PX -1.4%($1,675), TPA -2.7%, MEG -4.3% 
 - 합성수지 : HDPE +0.3%, PP +1.0%, PVC +4.4%(현재 $1,070) 
 - 면화가격은 전주말대비 +0.7%%(현재 81.7센트/파운드), 천연고무 가격은 -4.0%(현재 $2,910/톤) 
 
◆ 제품별 현황 및 전망 
 - 정제마진 강보합 지속. 다만 국제유가 하락으로 gasoline 등 석유제품 가격하락도 동반됨. 가격하락 수준이 낮아 마진 상승함 
 - 국제유가 및 Naphtha 가격 하락으로 전반적인 석화제품 가격도 동반 약세를 보임 
 - 폴리머(PE/PP) 시장은 중동 생산업체의 신규 오퍼를 기다리며 관망하였음. 공급원료 가격상승 및 중동지역 정기보수로 가격상승 가능성 상존. 그러나 최근 중국의 부동산 및 통화축소에 대한 우려감도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언임 
 - PVC 가격 4.4% 상승. 전년말 Petronas(15만톤) 설비 폐쇄 이후 미국/일본산 PVC 공급축소되며 가격 상승함. 당분간 강보합 전망

★석유화학 Weekly Summary_현대증권 백영찬_2013_0222(최종).xls

Posted by 백영찬
:

HYUNDAI SOLAR WEEKLY WATCH

1. 폴리실리콘 Spot 가격(9N급 또는 그 이상) : 전주대비 $0.03(0.19%) 상승, 현재 $16.15/kg 
   저순도 폴리실리콘 가격(6N~8N급) : 전주대비 $0.01(0.06%) 상승, 현재 $17.51/kg 
2. 웨이퍼가격 : 125mm 단결정 전주대비 $0.003(0.44%) 상승, 현재 $0.683 
3. 모듈가격 : 전주대비 $0.001(0.15%) 상승, 현재 $0.662/Watt

PVinsights에 따르면 현재 독일 주도로 유럽의 태양광 설치수요는 회복추세에 있으며 중국과 일본의 태양광 수요 또한 견조하다고 합니다. 이는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 하락에 따른 설치비용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가격 하락압박은 모듈가격 상승폭을 제한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셀 가격 상승 또한 소폭에 그친 반면 셀 업체들의 가동률은 1월부터 상승추세에 있다고 합니다. 웨이퍼 가격 상승폭은 소폭 확대됐습니다. 웨이퍼업체들이 수요 증가에도 가동률을 매우 점진적으로 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중국정부의 수입산 폴리실리콘 반덤핑관세 부과 판정이 금일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중국 상무부는 여전히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는 전언입니다. 웨이퍼 가동률의 가시적인 상승이 없는 한 폴리실리콘 수요는 제한적이라고 전합니다.

☆태양광 Total Price_현대 백영찬_130220.xls

Posted by 백영찬
:

정제마진 강세 지속, BD 4개월만에 $2,000/톤 돌파  

 

 ◆ 제품가격 및 스프레드 추이 

 - 국제유가 : WTI 전주말대비 +0.1%($95.9/bbl), Dubai +0.2%($112.6bbl) 

 - 정제마진(주간평균 기준) : 싱가폴 고도화마진 +$1.2/bbl(평균 $23.3), 단순마진 +$0.8/bbl(평균 $3.4) 

 - 납사가격 +2.2%(현재 $1040.9/), Ethylene 변화없음($1,370/), BD +7.7%($2,100/) 

 - 합섬원료 : PX +0.6%($1,699), TPA MEG 모두 변화없음 

 - 합성수지 : LDPE, HDPE, ABS, PVC 모두 변화없음 

 - 면화가격은 전주말대비 -0.6%(현재 81.2센트/파운드), 천연고무 가격은 -1.3%(현재 $3,030/) 

 

 ◆ 제품별 현황 및 전망 

 - 정제마진 강세 지속. Gasoline Naphtha 가격 상승이 마진강세를 유도함. 유럽 수요의 바닥확인과 미국 정유사 가동률하락으로 제품가격이 강세를 보였음. 3월 중순까지 이러한 추세는 이어질 전망 

 - BD 가격 톤당 $2,100을 기록, 4개월만에 다시 $2,000달러를 상회함. 강세 배경은 1) 유럽 NCC 정기보수로 유럽산 BD유입물량 축소, 2) 1분기 중국 합성고무 신규증설( 20만톤)에 따른 수요증가 때문임. 당분간 강보합 국면 지속 예상 

 - 다른 제품가격은 중국 춘절연휴로 인한 거래부진 등으로 가격변화가 없었음

 

★석유화학 Weekly Summary_현대증권 백영찬_2013_0215(최종).xls

Posted by 백영찬
:

BLOG main image
KB증권 석유화학담당. by 백영찬

공지사항

카테고리

석유화학 Update (2065)
Weekly Data (723)
신규 Report (11)
Refinery (1)
Petrochemical (2)
산업이슈 (7)
Breaking News! (12)
기업-실적발표 (140)
탐방리포트 (20)
Daily Data (636)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태그목록

글 보관함

달력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
Today : Yesterday :